본문 바로가기
누구나 희망하는 퇴직 사용설명서/제1편 희망퇴직 준비하기

04. "희망퇴직 준비: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

by 인싸오박사 2024. 4. 24.

준비되지 않은 희망퇴직을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재정 계획, 경력 전환 전략, 그리고 심리적 대비를 통해 예기치 않은 퇴직에도 흔들리지 않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875786

 

희망퇴직 매뉴얼: 준비에서 성공까지 | 오성호 - 교보문고

희망퇴직 매뉴얼: 준비에서 성공까지 |

product.kyobobook.co.kr

50대, 무조건 희망퇴직을 준비해야 하는 나이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기업들을 조사하다 보니, 나이 50이 넘으면 어느 기업이든 희망퇴직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큰 것 같습니다. 23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균 퇴직 연령은 법정 정년인 60세 보다 훨씬 낮은 49.4세라고 하니, 나이 50이 넘어 희망퇴직의 대상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일은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 


또한, 55~64세 취업 경험자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평균 근속 15년 8개월)를 그만 둔 이유로는 정년퇴직 8.5%,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 11.3%,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 30.2%로 비자발적 퇴직은 전체 50%이며, 남자의 경우는 65.4%에 이르는 것을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건강, 가족 돌봄 등을 제외한 순수한 의미에서 자발적 퇴직인 “그만 둘 나이가 됐다고 생각해서” 그만둔 사람들은 전체 2.7%에 불과합니다. 고령층의 경우 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비자발적 퇴직을 하고 있다고 해석해도 될 듯 합니다.

 

표: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 둔 이유

(2023 5월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통계청)

항목 전체
정년퇴직 8.5% 13.6% 4.1%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 11.3% 16.6% 6.7%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 30.2% 35.2% 25.8%
가족을 돌보기 위해 14.8% 1.5% 26.6%
건강이 좋지 않아서 19.2% 15.8% 22.3%
그만 둘 나이가 됐다고 생각해서 2.7% 1.9% 3.4%
그 외 13.2% 15.5% 11.2%

 

퇴직 사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 둔 이유

30대는 안심해도 될까!!!

최근 희망퇴직은 20대, 30대 등 연령을 가리지 않고 실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50세 이상은 당연히 포함하고 있고, 기업의 사정에 따라 대상자를 45세로 확대하거나 때로는 30세까지 연령이 내려가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 근속 5년 이상 또는 입사 1년 미만의 사원들까지도 포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50세 이상은 그 나마 마음의 준비를 해 왔겠지만, 막상 닥치면 준비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0대라면 설마 하는 마음으로 아무런 준비를 못한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래도 다행히 30대는 노동시장에서 충분히 재취업을 할 수 있는 연령대이므로 50대에 비해 좀 더 쉽게 위기를 기회로 바꿀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희망퇴직 준비하기

희망퇴직은 기회일 수도 있고, 위기일 수도 있습니다.

 

위기의 순간을 기회로 만들어야만 하는 데, 무엇을 해야 할 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에서 희망퇴직 대상자로 통보를 받은 분들은 준비할 시간이 부족한 데, 당장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 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아직 희망퇴직 대상자는 아니지만, 미래에 닥칠 지도 모르는 상황을 대비하여 무언가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준비하고 있는 내용을 드려다 보면 주식, 코인, 부동산 등 금융 투자를 열심히 하고 있는 데 실수익도 크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희망퇴직을 당면한 분들은 당장의 생존에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감정의 변화와 자기 돌봄 방법, 퇴직소득세 이해, 희망퇴직 유형과 협상 전략 등 무엇을 해야 하는 지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희망퇴직이 먼 미래의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준비할 시간이 넉넉한 분들에게는 경력전환을 위한 커리어플랜, 대출, 개인 연금, 현금 흐름과 같은 재정계획 등 계획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상시화된 희망퇴직의 시대에 어떤 준비를 하면 도움이 되는 지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2024.05.14 - [경력 개발] - 경력 개발 계획서 작성 가이드 | 희망퇴직 준비 팁

 

경력 개발 계획서 작성 가이드 | 희망퇴직 준비 팁

SMART 목표 설정법과 구체적인 예시로 경력 개발 계획서를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퇴직 후 새로운 경력을 설계하는 팁과 전략을 제공합니다. 자기 분석을 위한 질문과 전략적

dream-retiremen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