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구나 희망하는 퇴직 사용설명서/제2편 희망퇴직 이해하기

07. 재취업의 두려움: 노동시장의 현실과 두려움 극복

by 인싸오박사 2024. 5. 2.

재취업의 현실을 확인해 보세요. 중·고령층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재취업할 수 있는 전략을 알아보세요.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9752024

 

희망퇴직 매뉴얼 - 예스24

희망하는 퇴직을 꿈꾸고 있거나 희망퇴직·권고사직의 대상자가 되신 분들게 도움을 드리기 위해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희망퇴직은 구조조정에 의한 퇴직이면서도 합의에 의한 자발적 퇴직

www.yes24.com

 

재취업 노동시장 현황

재취업은 노동시장의 상황 및 개인 역량과 관련된 특성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한국 노동시장에서 고령에 속하는 40대 후반과 50대라면 생각한 것 보다 재취업이 어렵습니다. 특히 고령의 희망퇴직자에게는 더 큰 시련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에서 221월 ‘중·고령층 재취업의 특징 및 요인 분석과 시사점연구를 통해 중고령층이 퇴사를 하면 정규직으로 재취업하는 비율이 9%수준이며, 재취업 일자리의 질이 낮은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표: 연령별, 고용형태별 재취업률(%)

퇴사
연령
5년 내
미취업
1년 내 재취업 2~3년 내 재취업 4~5년 내 재취업
정규직 비정규직 자영업 정규직 비정규직 자영업 정규직 비정규직 자영업
25~34세 13.2 41.3 13.6 10.4 7.9 5.3 2.5 2.2 2.5 1.2
35~44세 7.5 31.7 23.9 19.2 5.2 6 2.9 0.9 2 0.8
45~54세 12.8 22.9 25.8 17.6 3.6 9.2 3.6 0.7 2.9 1
55~64세 26.9 11.1 25.6 13.3 2.9 11.1 3.3 0.5 4.1 1.2
65~74세 44.6 4.3 19.8 10.7 0.3 12 2.9 0.1 4.5 0.8
25~54세 11 32.5 20.8 15.7 5.7 6.7 3 1.3 2.4 1
55~74세 32.4 9 23.8 12.5 2.1 11.4 3.2 0.4 4.2 1

 

이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고령층이 정규직 재취업에 성공할 가능성은 고학력자, 직업훈련교육 참여자, 남성, 퇴사 시 임금 근로자로 일했을 때 높아진다고 하면서, “정규직 재취업 확률은 초대졸 이상일 경우 고졸 이하보다 65.6%, 직업훈련 참여자는 비참여자보다 약 43.0%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표: 주요 요인들이 중·고령층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주요 항목 정규직 재취업 확률 비정규직 재취업 확률 자영업 재취업 확률
연령
(만 나이 1세 증가시)
17.9%↓ 11.3%↓ 10.6%↓
성별
(남성 대비 여성)
29.4%↓ 비유의적 비유의적
교육수준
(고졸 이하 대비 초대졸 이상)
65.6%↑ 45.4%↓ 39.1%↓
직업훈련
(미참여자 대비 참여자)
43.0%↑ 비유의적 32.6%↑
거주형태
(전월세, 기타 대비 자가)
비유의적 비유의적 34.0%↑ 
자산소득 여부
(없음 대비 있음)
비유의적 21.0%↓ 비유의적
부채 여부
(없음 대비 있음)
45.9%↑  14.4%↑  62.8%↑ 
퇴사 시 취업형태
(임금근로자 대비 비임금근로자)
59.7%↓ 51.2%↓ 133.4%↑

 

44세 이하라면 정규직, 비정규직, 자영업 등 어떤 식으로든 재취업과 창업 성공의 가능성은 높습니다.

그렇지만, 노동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전문성이나 필요한 역량을 충분히 학습하지 않았거나 노동시장의 여건이 좋지 않다면 양질의 일자리에 재취업 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경력 개발 계획서 작성 가이드 | 희망퇴직 준비 팁

 

경력 개발 계획서 작성 가이드 | 희망퇴직 준비 팁

SMART 목표 설정법과 구체적인 예시로 경력 개발 계획서를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퇴직 후 새로운 경력을 설계하는 팁과 전략을 제공합니다. 자기 분석을 위한 질문과 전략적

dream-retirement.tistory.com